강의실
시스템트레이딩 이해

Simple Filter

즉, 시스템에서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대단히 복잡한 기술적인 지표를 디자인하려고 하기보다는 시스템을 각 기능요소별로 나누려고 노력해야 하며 그리고 그 다음에 각각의 기능에 단순하지만 효과적인 기술적 분석들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추세를 나타내는 두 지표를 사용한다고 했을 때, 두 지표가 서로 같은 방향에 동의할 때는 그 방향으로 추세가 움직인다. 두 지표가 서로 다른 방향을 나타낼 때는 우리는 추세가 보합국면에 있다고 판단 할 수 있다. 일단 각 시장의 추세방향을 확인한 뒤에 시스템의 추세추종 지표는 각 추세의 방향을 대표하게 된다.
만약 상승 방향이라면 우리는 단지 매수만 하는 전략을 사용할 것이고, 추세가 하락중이라면 우리는 단지 매도하는 전략만을 사용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보합국면에서는 거래를 안하는 전략을 사용하거나 일시적 급락에서 샀다가 회복되면 약간의 이익을 취하고 매도하는 추세반대 전략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역 매매(Reversals) 전략은 개인적으로는 별로 권하고 싶지 않다. 이 역 매매(Reversals)전략은 기계적인 신호로 현재 포지션을 취한 후 반대의 포지션으로 신규 포지션을 갖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7일 이동평균과 25일 이동평균을 상향 돌파하는 골든 크로스 발생 후 신규 매수 포지션을 취했다면 매도 신호인 25일 이동평균이 7일 이동평균을 하향 돌파하며 데드 크로스가 날 경우 그전의 포지션을 청산함과 동시에 신규 매도 포지션을 취하는 전략을 말한다.
가장 대표적인 전략으로는 SAR(Stop And Reverse)라고도 불리는 패러볼릭(Parabolic) 지표가 그 좋은 례이다. 하지만 이 전략은 보합시장을 확인하지 못하고, 언제나 매수를 청산하자마자 신규 매도 포지션이 들어 가거나 정 반대로 시장에서 계속적인 거래를 하게 되는데 이런 역 매매 전략은 보합국면에선 언제나 속임수에 빠지기 쉽고 시장의 추세가 상당기간 보합으로만 지속될 경우 수수료나 기타 거래 비용을 제한다면 거의 수익을 낼 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다.
필터의 도입은 불필요한 거래를 없애는 데에도 이유가 있다. 이동평균(moving average)이든 기타 기술적 지표든 현 추세의 방향을 감지하는 장치가 만들어졌다면 이제 좋은 시장 진입규칙(entry system)과 시장 퇴거규칙(exit system)을 찾는 더욱 중요한 일을 계속해야 할 것이다.
즉 현재 시장이 상승추세라면 그 추세를 제대로 탈수 있는, 정확한 타이밍을 포착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이 수치로써 있어야 하는 것이다. 추가로 이동평균을 사용한 추세 감지 장치에서 더 세밀한 필터를 도입하고 싶다면, 지지선(support)과 저항선(resistance)을 식별해 주는 알고리즘 들을 결합시키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어, 50일 동안의 이동평균(moving average)을 능가하는 가격 상승세가 계속될 것이라는 예측을 하려면, 각각의 경우에 시장의 가격 구조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수많은 다양한 것들을 판단 할 수가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특정한 시장 가격 구조가 정해지면, 그것은 필터링(filtering) 과정에서 이동평균(moving average)을 보완할 수 있다.
가격이 꽤 오랜 기간 급락세를 보이다가 V 바닥에서 갑자기 반전해서 이동평균(moving average)을 넘게 끔 접근하는 것을 예로 들어보자. 가격이 이동평균(moving average)의 상하로 흔들리면서 수개월 동안 많은 trading band의 주변을 맴돌고 있는 것과 비교해보자.
이제 가격은 이동평균(moving average) 보다는 위에 있지만, trading range의 최고치 보다는 아직도 낮다. 가격이 상승추세(uptrend)인가?, 아직도 보합추세(sideway)인가? 시장 가격 구조와 추세의 저항, 지지선들이 나타나지 않은 단순한 이동평군(moving average)은 추세(trend)를 제대로 알아낼 수가 없다. 이 점에서 가격과 관련이 없는 다른 필터(filter)들도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다. 그런 필터(filter)들은 기본적인 것들, 계절적인 것들, 감정적인 것들, 공개된 관심과 기본적 관계를 포함한다.
실례로 미국의 유명한 OOPS라는 시스템은 S & P 500 선물을 거래하면서 장기채 선물을 필터로 쓰고 있다. 하지만 너무 많은 필터(filter)의 도입은 아주 위험하다. 대체로 많은 필터의 도입은 큰 이익을 낼 수 있는 잠재력 있는 시장을 놓쳐 버릴 수가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것은 투자가의 전반적인 거래의 횟수를 감소하게 하며 매매 체험에 대한 신뢰도를 감소시킨다. 단 한 개의 여분의 필터(filter)를 더 채택하더라도 그것을 뒷받침할 수 있는 아주 강력한 증거를 갖고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