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실
시스템트레이딩 이해

자금관리의 중요성
자금관리의 가이드라인
일반적으로 인정하듯이, 포트폴리오 관리는 매우 복잡하고 진보된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할 것을 요구 받는다. 본인은 이것을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접근하도록 하겠다. 다음은 자금의 분배와 거래계약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이다.1. 전체 투자자금은 전체 자금의 50% 이내로 한정되어야 한다. 대상은 한가지 이상의 선물이나 옵션이며 특정한 현물 종목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언제라도 투자가의 자금 중 단지 절반만을 시장에 투자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머지 반은 큰 손실 등의 타격을 입었을 때를 대비한 자금원으로서 역할 한다. 예를 들어 백만원을 갖고 있다면 오십만원만 거래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차 후 여유 자금원에서 추가포지션을 설정할 때는 마찬가지로 남은 50%(50만원)의 절반인 25%(25만원)만을 1차 투입한다.
2. 한 시장의 모든 계약은 전체 투자액의 10%에서 15% 이내로 제한한다. 그래서 백만원이 있다면 단지 십만원이나 십오만원만을 한 시장에서 이익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것은 투자가로 하여금 너무 많은 자금을 한 거래에 투자하는 것을 방지한다.(현물종목으로 이야기 하면 몰빵..)
3. 한 시장 혹은 한 특정종목에서 손실 가능한 금액은 전체의 5% 이내로 한정해야 한다. 이 5%라는 것은 투자를 잘못했을 경우 기꺼이 감수할 수 있는 액수이다. 이것은 얼마나 많은 계약이나 거래 할지를 결정하고 손실 제한폭을 놓을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백만원이 있다면 오만원 이상을 한 거래에서 잃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4. 일련의 관계되는 시장 혹은 종목에서 얻을 수 있는 총 수익은 전체 금액의 20%에서 25%로 한정한다. 이 목적은 일련의 관계된 시장에 너무 많이 관계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일련의 관계되는 시장이나 종목은 함께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금선물과 은선물은 같은 귀금속이고 일반적으로 같은 방향의 추세를 갖는다. 일련의 관계되는 시장 각각에 전체 자금을 투자하는 것은 투자분산의 원칙을 어기는 것이다. 같은 종류의 시장에서의 거래규모는 조절되어야 한다 현물로 이야기하자면 특정 업종 혹은 시장 (거래소, 코스닥, 장외, 선물거래소의 각기 다른 선물)에 자금이 집중되는 것을 한정한다는 의미이다.
이런 가이드라인은 투자에서 아주 보편적이지만 투자가의 요구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몇몇 투자가들은 훨씬 더 공격적이고 높은 수익을 올린다. 반면 나머지는 더 보수적이다. 분산투자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은 자금의 보존이 가능해야 되고 손실기간동안 보호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