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ding For A Living

컴퓨터를 이용한 기술적 분석

예스스탁
성공적인 트레이딩을 하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해야만 한다는 얘기(마치, 자전거로 여행하는 것과 자동차로 여행하는 것에 비유하여)와 소프트웨어 종류(툴박스, 블랙박스, 그레이박스)에 대한 개념 소개가 있습니다.

- Three Major Groups of Indicators
지표들은 추세를 규정하고, 전환점을 규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지표들은 매수세력과 매도세력간의 힘의 균형관계에 대해 깊이 있는 통찰력을 제공한다. 지표들은 차트패턴 보다 더 객관적이다.
지표를 이용할 때 곤란한 점은 지표간에 서로 모순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어떤 지표들은 추세 시장에서 잘 맞고, 어떤 지표들은 횡보 국면에서 잘 맞는다. 또 어떤 지표들은 시장의 전환점을 잡아내고, 어떤 지표들은 추세를 따르는 것에 장점이 있다.

대부분의 초보자들은 하나의 지표만을 본다. 다른 사람들은 많은 지표들을 섞어서 평균을 내기도 한다. 어느쪽이든 사려 깊지 못한 투자자들은 마치 10대 스포츠 운전자처럼 사고의 발생을 예고하고 있다. 지표들을 사용하기 전에 먼저 어떤 상황에서 유효한 지표인지를 알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당신은 그 신호에 대해 자신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전문가들은 지표를 세 그룹으로 나눈다. 추세 추종형 지표(Trend-Following Indicators), 시장 진동자 지표(Oscillators), 기타 지표(Miscellaneous Indicators)

추세 추종형 지표는 이동평균, MACD, DMI, OBV, AD 등등이 있고, 이 지표들은 시간적으로 지체현상이 있다. 추세가 바뀐 다음에 지표가 바뀐다.
시장 진동자 지표는 전환점을 규정한다. 스토캐스틱, ROC, 모멘텀, RSI, 윌리암 R, CCI, 등등이 있다. 오실레이터는 시장 선행지표로서 역할을 한다.
기타 지표들은 시장의 강세와 약세에 대한 의견의 강도를 꿰뚫어 볼 수 있도록 한다. 신고가-신저가 지표, 강세 합의이론 등등이 있다. 시장 선행지표로서 역할을 한다.

(이 이후로는 이동평균, MACD, DMI, ADX와 같은 추세추종형 지표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내용은 제가 지난번에 연재한 내용도 있고, 기술적 분석을 다룬 책자에 대부분이 언급되어 있어 생략하겠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모멘텀과 ROC 지표들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습니다. 오실레이터를 이해할 때 중요한 내용은 과량매입(Overbought)과 과량매도(Oversold)라는 개념인데, 과량매입은 너무 많이 매수를 해서 분위기는 좋지만 이후에 지속적으로 매수세가 유입될 확률이 적기 때문에 현재 수준의 가격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이고, 과량매도는 그 반대입니다. 따라서, 과량매입 상황 이후에는 가격이 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이해합니다. 이것은 한편에서는 대중들 모두 낙관적일 때, 즉 모두 상승을 외칠 때 상투를 형성한다는 경험과도 비슷합니다. 즉, 시장을 낙관적으로 보아 매수를 했고, 너도 나도 매수 위주로 매매를 했다면 분위기는 낙관적일텐데, 실상 내면적으로는 남아 있는 매수세력이 소진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주가를 상승시키기 어려운 것이지요. 그래서 시장은 절망 속에서 반전하고, 회의 속에서 성장하고, 낙관 속에서 사라진다라고 하지 않겠습니까?)

아, 또 한가지 개념을 언급할 것이 있는데, 영어로는 Divergence라고 하고, 우리말로는 “역배열” 정도가 어떨까 싶습니다. 가격의 움직임과 지표의 움직임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상황으로 상승형 역배열, 하락형 역배열의 두 종류가 있습니다. 가격은 하락하고 있는데 지표는 상승하고 있으면, 향후에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은 상승형 역배열로 볼 수 있고, 강력한 매수 신호로 기능합니다. 반대 경우는 가격은 상승하고 있는데, 지표는 하락하고 있으면 향후에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강력한 매도 신호로 이해합니다.

간과하기 쉬운 필수 요소들..

여기서는 거래량과 거래량을 이용한 지표들 소개가 있고, 선물 시장의 미결제 약정에 대한 소개와 매집국면과 분산국면을 규정하는 지표들 소개가 있습니다. 그리고, 시간(주기)에 대한 언급도 되어 있습니다. 이런 내용들도 알고는 있어야 하지만 그냥 알고 있는 정도면 충분할 것 같고, 특별한 내용이 없어서 생략하겠습니다. 선물 거래자에게 미결제 약정은 남아있는 매매세력들의 힘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은 잘 아실테고요..
미결제약정이 감소하면 그간의 추세가 약화되고 있고, 미결제약정이 증가하면 추세가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합니다.

이 다음에는 전체 시장을 보는 지표들과 심리적인 지표들에 대해 간단하게 언급을 하겠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는 조금 자세하게 다룰 내용으로 트레이딩 시스템과 위험관리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