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식이 있다고 하면..
Var1=max(dayhigh(1),dayhigh(2),dayhigh(3));
Var2=min(daylow(1),daylow(2),daylow(3));
var3=(Var1-var2)*0.15;
var4=(Var1-var2)*0.30;
var5=(Var1-var2)*0.45;
var3=(Var1-var2)*0.60;
var4=(Var1-var2)*0.75;
위의 수식을 플럿팅 시켰을때
챠트가 라인을 전부 담아야 하기때문에
챠트상의 캔들이 상대적으로 왜곡되어 작게 보이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 베리어블이 숨어있다가 선지가 현재 라인과의 차가 "0"이 되는 시점에
다른 라인을 나오게 하고 싶습니다..
조금 더 부연설명을 하자면
var1이 챠트에 그려지고 나서 선지가 상승한다면 var3, var4를 만나러 가게 됩니다.
이때 선지와 var1값이 차가 "0"이 되는 시점에 var3이 그려지고
선지와 var3의 값의 차가 "0"이 되는 시점에 var4가 그려지도록 해주세요..
(대신챠트에서는 구현하여 사용하고 있는데..예스는 서툴러서 도저히 안되는군요)
부탁드립니다. 미리 감사드려요..
앗!! 그리고 한가지 더요..
밑에 챠트에 색상을 그려지게 하는 로직을 부탁했었는데요
제 지인이 예스랭귀지를 쓰고 있는데... 그분은 선지 한포정도의 높이의 완전한 띠형태(사각형) 도형안에 색상을 넣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분명 하이투자증권사용하고 있고요. 강조에서 사용하는 막대그래프형태가 아닌 챠트에 색상을 넣어서 표현하고 있습니다.
한번만 더 고민해주시길 부탁드려요.
답변 1
예스스탁
예스스탁 답변
2009-09-18 09:31:34
안녕하세요
예스스탁입니다.
1.
보셨다는 색상을 넣는 기능은 채우기 기능입니다.
채우기는 수식에서는 가능하지 않고 지표 속성창에서만 가능합니다.
지표속성 차트표시탭의 하단에 채우기라는 버튼이 있습니다.
2.
올리신 수식의 계산값이 주차트와 맞지 않은 작은 값이므로 아래와 같이 수정했습니다.
var1+(var1-var2)*0.15
var1+(var1-var2)*0.30
var1+(var1-var2)*0.45
var1+(var1-var2)*0.60
var1+(var1-var2)*0.75
var2-(var1-var2)*0.15
var2-(var1-var2)*0.30
var2-(var1-var2)*0.45
var2-(var1-var2)*0.60
var2-(var1-var2)*0.75
위 나열된 값 중 현재가와 가장 가까운 위아래값 2개를 그리는 지표식입니다.
채우기 기능을 위해서는 값이 2개 이상 필요하므로 위아래값 2개를 그리게 만들었습니다.
var : Upline(0),Dnline(0);
var1=max(dayhigh(1),dayhigh(2),dayhigh(3));
var2=min(daylow(1),daylow(2),daylow(3));
var3=var1+(Var1-var2)*0.15;
var4=var1+(Var1-var2)*0.30;
var5=var1+(Var1-var2)*0.45;
var6=var1+(Var1-var2)*0.60;
var7=var1+(Var1-var2)*0.75;
value3=var2-(Var1-var2)*0.15;
value4=var2-(Var1-var2)*0.30;
value5=var2-(Var1-var2)*0.45;
value6=var2-(Var1-var2)*0.60;
value7=var2-(Var1-var2)*0.75;
if C < var1 and C > var2 then{
upline = var1;
Dnline = var2;
}
if C < var3 and C >= var1 then{
upline = var3;
Dnline = var1;
}
if C < var4 and C >= var3 then{
upline = var4;
Dnline = var3;
}
if C < var5 and C >= var4 then{
upline = var5;
Dnline = var4;
}
if C < var6 and C >= var5 then{
upline = var6;
Dnline = var5;
}
if C < var7 and C >= var6 then{
upline = var7;
Dnline = var6;
}
if C <= var2 and C > value3 Then{
upline = var3;
Dnline = value3;
}
if C <= value3 and C > value4 Then{
upline = value3;
Dnline = value4;
}
if C <= value4 and C > value5 Then{
upline = value4;
Dnline = value5;
}
if C <= value5 and C > value6 Then{
upline = value5;
Dnline = value6;
}
if C <= value6 and C > value7 Then{
upline = value6;
Dnline = value7;
}
plot1(upline,"상단");
plot2(Dnline,"하단");
즐거운 하루되세요
> thelake 님이 쓴 글입니다.
> 제목 : 라인의 제어
>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식이 있다고 하면..
Var1=max(dayhigh(1),dayhigh(2),dayhigh(3));
Var2=min(daylow(1),daylow(2),daylow(3));
var3=(Var1-var2)*0.15;
var4=(Var1-var2)*0.30;
var5=(Var1-var2)*0.45;
var3=(Var1-var2)*0.60;
var4=(Var1-var2)*0.75;
위의 수식을 플럿팅 시켰을때
챠트가 라인을 전부 담아야 하기때문에
챠트상의 캔들이 상대적으로 왜곡되어 작게 보이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 베리어블이 숨어있다가 선지가 현재 라인과의 차가 "0"이 되는 시점에
다른 라인을 나오게 하고 싶습니다..
조금 더 부연설명을 하자면
var1이 챠트에 그려지고 나서 선지가 상승한다면 var3, var4를 만나러 가게 됩니다.
이때 선지와 var1값이 차가 "0"이 되는 시점에 var3이 그려지고
선지와 var3의 값의 차가 "0"이 되는 시점에 var4가 그려지도록 해주세요..
(대신챠트에서는 구현하여 사용하고 있는데..예스는 서툴러서 도저히 안되는군요)
부탁드립니다. 미리 감사드려요..
앗!! 그리고 한가지 더요..
밑에 챠트에 색상을 그려지게 하는 로직을 부탁했었는데요
제 지인이 예스랭귀지를 쓰고 있는데... 그분은 선지 한포정도의 높이의 완전한 띠형태(사각형) 도형안에 색상을 넣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분명 하이투자증권사용하고 있고요. 강조에서 사용하는 막대그래프형태가 아닌 챠트에 색상을 넣어서 표현하고 있습니다.
한번만 더 고민해주시길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