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예스 스팟 수식 작성 중 간단한 문의드립니다.
챠트 객체에서 stoploss나 endofday신호가 나오는 경우
Signalkind가 어떻게 잡히는 지요?
Signalkind의 경우 1~4는 buy나 sell, exitlong, short인데
챠트에서 stoploss의 경우에 exitlong/exitshort으로 신호를 인식하게 되는지요?
신호챠트에서 BUY인경우 매도포지션이 있을때 청산하고 매수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경우 스팟에서는 매도청산 1개, 매수 한개로 신호가 가는지요? 아니면 매수2개로 신호가 가는지요?
감사합니다.
답변 1
예스스탁
예스스탁 답변
2021-01-20 16:57:10
안녕하세요
예스스탁입니다.
1
강제청산도 exitlong/exitshort으로 잡히게 됩니다.
매수진입후 발생하는 강제청산은 exitlong으로 Signalkind는 2
매도진입후 발생하는 강제청산은 exitshort으로 Signalkind는 4입니다.
2
스위칭 될경우에는 function Chart1_OnRiseSignal(Signal)이벤트가 연속적으로 두번 발생하게 됩니다.
청산먼저 진입이 그다음입니다.
매도스위칭이면 Signalkind == 2 다음 Signalkind는 3
매수스위칭이면 Signalkind == 4 다음 Signalkind는 1
즐거운 하루되세요
> songjs12 님이 쓴 글입니다.
> 제목 : 예스스팟에서 청산과 관련 질문
> 안녕하세요
예스 스팟 수식 작성 중 간단한 문의드립니다.
챠트 객체에서 stoploss나 endofday신호가 나오는 경우
Signalkind가 어떻게 잡히는 지요?
Signalkind의 경우 1~4는 buy나 sell, exitlong, short인데
챠트에서 stoploss의 경우에 exitlong/exitshort으로 신호를 인식하게 되는지요?
신호챠트에서 BUY인경우 매도포지션이 있을때 청산하고 매수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경우 스팟에서는 매도청산 1개, 매수 한개로 신호가 가는지요? 아니면 매수2개로 신호가 가는지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