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예스랭귀지 Q&A

글쓰기
답변완료

지표 변환부탁드립니다.

// 시가, 고가, 저가 변수 openPrice = open highPrice = high lowPrice = low // 매시간 정시에 해당하는 캔들인지 확인 isHourClose = (minute == 0) // 양의 조건: 시가가 저가와 같고 저가가 더 이상 갱신되지 않는 경우 isPositive = isHourClose and (openPrice == lowPrice) and (lowPrice == ta.lowest(lowPrice, 1)) // 음의 조건: 시가가 고가와 같고 고가가 더 이상 갱신되지 않는 경우 isNegative = isHourClose and (openPrice == highPrice) and (highPrice == ta.highest(highPrice, 1)) // 텍스트를 저장할 변수 var string ssText = na // 양의 텍스트 및 선 표시 if (isPositive) ssText := str.tostring(openPrice) label.new(bar_index, lowPrice - 1, text=ssText, style=label.style_label_up, color=color.green, textcolor=color.white, size=size.large, textalign=text.align_center) line.new(bar_index[1], lowPrice, bar_index, lowPrice, color=color.red, width=1) // 음의 텍스트 및 선 표시 if (isNegative) ssText := str.tostring(openPrice) label.new(bar_index, highPrice + 1, text=ssText, style=label.style_label_down, color=color.green, textcolor=color.white, size=size.large, textalign=text.align_center) line.new(bar_index[1], highPrice, bar_index, highPrice, color=color.blue, width=1) else ssText := na //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텍스트를 비움
프로필 이미지
cliba
2025-08-27
89
글번호 193535
지표
답변완료

부탁드립니다^^

항상 도움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매수 삼각형 신호 표시 : 현재 캔들의 종가가 360 이평 위에 있고, 현재 캔들의 위치는 양운이어야 하고 선행 일목 구름이 양운로 바뀔때 현재 캔들에 삼각형 신호를 매도 삼각형 신호 표시 : 위와 반대일 경우 지표 수식으로 부탁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체리피커
2025-08-27
95
글번호 193531
지표
답변완료

거래량

늘 감사합니다. 1. data2 차트에 거래량이 1,000개 이상이 발생 할때마다, 각각의 봉에 시가 고가 저가 종가에 수평선을 긋는 수식, 굵기 색상 변경 가능 하게 2. 종가는 양봉이면 빨간색, 음봉이면 파란색입니다 3, 수평선은 당일 종가 까지만, 다음날은 다시 사작 4.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상암동
2025-08-27
80
글번호 193528
지표
답변완료

부탁 좀 드릴께요

항상 감사합니다. 아래 트뷰 지표를 변환하고자 합니다. // This work is licensed under a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0 International (CC BY-NC-SA 4.0)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 &#169; StratifyTrade //@version=5 indicator("Liquidity Trendline With Signals [StratifyTrade]", "StratifyTrade - Liquidity Trendline With Signals", overlay = true, max_lines_count = 500, max_bars_back = 5000) len = input.int (5, "Period",tooltip = "Lookback period", inline = "a", group = "SETTINGS") cup = input.color(#0044ff, "", "" ,inline = "a", group = "SETTINGS") cdn = input.color(#ff2b00, "", "" ,inline = "a", group = "SETTINGS") space = input.float(2, "Padding",tooltip = "Padding distance", inline = "b", group = "SETTINGS", step = 0.1) shs = input.bool (true, "Show Breakouts",inline = "z", group = "SETTINGS") ph = ta.pivothigh(high, len, len) pl = ta.pivotlow (low , len, len) type store float src int n type bar float o = open float h = high float l = low float c = close int n = bar_index float v = volume type draw line[] upln line[] dnln var store[] upbin = array.new<store>() var store[] dnbin = array.new<store>() var draw d = draw.new(array.new<line>(), array.new<line>()) bar b = bar.new() atr = ta.atr(200) method slope(line ln) => x = ln.get_x2() - ln.get_x1() y = ln.get_y2() - ln.get_y1() y / x vol() => math.min(atr * 0.1, close * (0.1/100)) var bool broken = false color active = na bool plup = false bool pldn = false if ph bool remove = false var bool valid = false upbin.unshift(store.new(b.h[len], b.n[len])) if upbin.size() > 1 current = upbin.get(0) before = upbin.get(1) if current.src < before.src if broken valid := true else valid := false if upbin.size() > 3 pastold = upbin.get(3) pastcur = upbin.get(2) now = upbin.get(1) late = upbin.get(0) if now.src < pastcur.src and now.src < pastold.src and late.src < pastcur.src and late.src < pastold.src valid := true else valid := false else valid := false if valid d.upln.unshift(line.new(x1 = before.n, x2 = current.n, y1 = before.src, y2 = current.src, color = cdn)) d.upln.unshift(line.new(x1 = before.n, x2 = current.n, y1 = before.src - vol() * space, y2 = current.src - vol() * space, color = cdn)) ln = d.upln.get(1) for i = 0 to (b.n - before.n) slope = ln.slope() ln.set_x2(b.n[i]) ln.set_y2(ln.get_y2() - slope) if low[i] > ln.get_y2() remove := true break if remove d.upln.get(0).delete() d.upln.get(1).delete() d.upln .clear() upbin .clear() broken := true else d.upln.get(0).delete() d.upln.get(1).delete() d.upln .clear () d.upln.unshift(line.new(x1 = before.n, x2 = current.n, y1 = before.src, y2 = current.src, color = cdn)) d.upln.unshift(line.new(x1 = before.n, x2 = current.n, y1 = before.src - vol() * space, y2 = current.src - vol() * space, color = cdn)) linefill.new(d.upln.get(0), d.upln.get(1), color = color.new(cdn, 75)) upbin.clear() broken := false if d.upln.size() > 1 btm = d.upln.get(0) top = d.upln.get(1) if b.l > top.get_y2() d.upln.clear() broken := true upbin.clear() plup := true if d.upln.size() > 1 slup = top.slope() sldn = btm.slope() top.set_x2(b.n) top.set_y2(top.get_y2() + slup) btm.set_x2(b.n) btm.set_y2(btm.get_y2() + sldn) if pl bool remove = false var bool valid = false dnbin.unshift(store.new(b.l[len], b.n[len])) if dnbin.size() > 1 current = dnbin.get(0) before = dnbin.get(1) if current.src > before.src if broken valid := true else valid := false if dnbin.size() > 3 pastold = dnbin.get(3) pastcur = dnbin.get(2) now = dnbin.get(1) late = dnbin.get(0) if now.src > pastcur.src and now.src > pastold.src and late.src > pastcur.src and late.src > pastold.src valid := true else valid := false else valid := false if valid d.dnln.unshift(line.new(x1 = before.n, x2 = current.n, y1 = before.src, y2 = current.src , color = cup)) d.dnln.unshift(line.new(x1 = before.n, x2 = current.n, y1 = before.src + vol() * space, y2 = current.src + vol() * space, color = cup)) ln = d.dnln.get(1) for i = 0 to (b.n - before.n) slope = ln.slope() ln.set_x2(b.n[i]) ln.set_y2(ln.get_y2() - slope) if high[i] < ln.get_y2() remove := true break if remove d.dnln.get(0).delete() d.dnln.get(1).delete() d.dnln .clear () dnbin .clear () broken := true else d.dnln.get(0).delete() d.dnln.get(1).delete() d.dnln .clear () d.dnln.unshift(line.new(x1 = before.n, x2 = current.n, y1 = before.src, y2 = current.src, color = cup)) d.dnln.unshift(line.new(x1 = before.n, x2 = current.n, y1 = before.src + vol() * space, y2 = current.src + vol() * space, color = cup)) linefill.new(d.dnln.get(0), d.dnln.get(1), color = color.new(cup, 75)) dnbin.clear() broken := false if d.dnln.size() > 1 btm = d.dnln.get(0) top = d.dnln.get(1) if b.h < btm.get_y2() d.dnln.clear() broken := true dnbin.clear() pldn := true if d.dnln.size() > 1 slup = top.slope() sldn = btm.slope() top.set_x2(b.n) top.set_y2(top.get_y2() + slup) btm.set_x2(b.n) btm.set_y2(btm.get_y2() + sldn) plotshape(pldn and shs ? b.h[1] : na, "Breaking Down", shape.triangledown, location = location.abovebar, color = cdn , offset = -1, size = size.tiny) plotshape(plup and shs ? b.l[1] : na, "Breaking Up" , shape.triangleup , location = location.belowbar, color = cup, offset = -1, size = size.tiny)
프로필 이미지
플로스트
2025-08-27
106
글번호 193527
지표
답변완료

사용자함수 질문입니다.

안녕하십니까 선생님? 다름이 아니오라 예스트레이더코인에서 1. 갭 오픈 시 체결가 롱 포지션에서 **타겟(AtLimit)**을 다음 봉 시가가 뛰어넘어 개장했을 때, 체결가는 시가로 집계되나요, 아니면 타겟가로 집계되나요? 2. 호가단위(틱) 스냅 적용 위치 판정(AtLimit/AtStop 비교) 단계에서도 호가단위로 라운딩해 비교하나요, 아니면 원시 실수값으로 비교하고 주문 집행 시점에만 호가단위 스냅이 적용되나요? 업비트처럼 가격대별 호가단위도 엔진이 자동 반영하는지 궁금합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선생님 좋은 하루 되십시오
프로필 이미지
추세추종중독자
2025-08-27
72
글번호 193526
사용자 함수

아트정 님에 의해서 삭제되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아트정
2025-08-26
0
글번호 193515
시스템
답변완료

종목 검색 부탁드립니다.

A=Highest(V,기간); B=Valuewhen(1, V>A(1),(O+C+L+H+C)/5); A1=Highest(V,기간1); B1=Valuewhen(1, V>A1(1),(O+C+L+H+C)/5); B>B1 && B(1)<=B1(1) 위신호가 20일 전부터 오늘까지 발생한 종목 검색식 부탁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골든도라도
2025-08-26
88
글번호 193514
종목검색
답변완료

수식 추가

Inputs : DDD(20150309), LEN(300), HL_ED(60), CC(Black); Vars : DBN(0), KK(0), DD(0), KK2(0), DD2(0),T(0),mav(0); If STime >= 070000 And STime[1] < 070000 Then Begin DBN = 0; KK = 0; DD = 0; KK2 = 0; DD2 = 0; T = 0; End; DBN = DBN + 1; If STime >= 073000 And DD == 0 Then Begin Value2 = O; DD = 1; KK = DBN; var1 = 0; var2 = 0; End; mav = ma(C,10); if DD == 1 Then { if CrossUp(C,value2) Then { T = 1; } if CrossDown(C,Value2) Then { T = -1; } if T == 1 and CrossUp(C,mav) Then { T = 2; Buy(); } if T == -1 and CrossDown(C,mav) Then { T = -2; Sell(); } } 안녕하세요 위식에 date 2추가 부탁드려요 분봉에 10분봉이 양봉일때 매수 10분봉이 음봉일때 매도 기존식에서 데이터 2조건이 일치할때 매수,도 방식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아트정
2025-08-26
98
글번호 193513
시스템

사공하늘 님에 의해서 삭제되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사공하늘
2025-08-26
43
글번호 193512
검색
답변완료

문의드립니다.

1. 진입한 봉이 양봉이나 음봉일 때, 진입한 봉의 직전봉이 양봉이나 음봉일 때, 진입한 봉 그 다음봉이 양봉이나 음봉일 때를 표현하고 싶습니다. 2. 진입한 봉을 기준으로 그 직전 연속 3음봉이고 그 이후 연속 3양봉일 때 청산하는 식도 구하고 싶습니다. (이때 진입봉이 음봉인지 양봉인지 여부는 상관없습니다만 만일 구분이 가능하다면 1) 진입봉을 포함하여 세는 경우와 2) 진입봉은 제외하고 세는 경우로 나눠 만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카르마다
2025-08-26
77
글번호 193511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