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예스랭귀지 Q&A

글쓰기
답변완료

예스트레이딩 수식으로 부탁드립니다.

종목검색식 부탁드립니다. V1=ma(v, 기간1); V2=ma(v, 기간2); A=CrossUp(V1, V2) && C>O; vv1 = IF(VOLUME(1) != 0, VOLUME / VOLUME(1), 1); mac = EAVG(CLOSE, lenth); mao = EAVG(OPEN, lenth); vmac = mac * vv1; vmao = mao * vv1; vd = vmac - vmao; vdma = EAVG(vd, malenth); B=vdma>0 && vdma(1)<0 && vd>0; A && B (지표변수) 기간1: 10 / 기간2: 60 / lenth:10 / malenth: 20
프로필 이미지
비밀통로
2025-08-04
161
글번호 192953
종목검색
답변완료

지표 부탁드립니다

분봉 차트에서 일봉의 ATR을 구하는 수식을 부탁드립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씸풀
2025-08-04
120
글번호 192952
지표

2wnwn 님에 의해서 삭제되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wnwn
2025-08-04
22
글번호 192951
지표
답변완료

부탁드립니다.

아래지표에서 plot24 와 plot25 만 막대로 지정해서 사용중입니다. 막대가 빨강과 파랑으로 표시되는데 이때 차트위에도 연한 색으로 강세약세 표현되게 부탁드립니다. 혹시 막대의 굵기에 따라 색상이 점점 진해지게도 가능하다면 부탁드립니다. 색깔전환시 연한회색으로 구분되어지는것도 부탁드립니다. // 단기 WMA 변수 선언 Var : Wma_Short1(0),Wma_Short2(0),Wma_Short3(0),Wma_Short4(0),Wma_Short5(0),Wma_Short6(0); // 단기 WMA 계산 (기간: 3, 5, 8, 10, 12, 15) Wma_Short1 = WMA(Close,3); Wma_Short2 = WMA(Close, 5); Wma_Short3 = WMA(Close, 8); Wma_Short4 = WMA(Close, 10); Wma_Short5 = WMA(Close, 12); Wma_Short6 = WMA(Close, 15); // 장기 WMA 변수 선언 Var : Wma_Long1(0),Wma_Long2(0),Wma_Long3(0),Wma_Long4(0),Wma_Long5(0),Wma_Long6(0); // 장기 WMA 계산 (기간: 30, 35, 40, 45, 50, 60) Wma_Long1 = WMA(Close, 30); Wma_Long2 = WMA(Close, 35); Wma_Long3 = WMA(Close, 40); Wma_Long4 = WMA(Close, 45); Wma_Long5 = WMA(Close, 50); Wma_Long6 = WMA(Close, 60); // 추세 판단 및 상태 유지에 필요한 변수들 선언 Var : Wma_Short_0단계(0), Wma_Short_1단계(0), Wma_Long_0단계(0), Wma_Long_1단계(0), Wma_추세_구분(0), Wma_추세_Cnt(0), Wma_추세_상승_회수(0), Wma_추세_하락_회수(0), Wma_추세_상승_고가(0), Wma_추세_상승_저가(0), Wma_추세_상승_진폭(0), Wma_추세_하락_고가(0), Wma_추세_하락_저가(0), Wma_추세_하락_진폭(0), Wma_추세유지_상승_Cnt(0), Wma_추세유지_하락_Cnt(0), Wma_추세유지_상승_고가(0), Wma_추세유지_상승_저가(0), Wma_추세유지_상승_진폭(0), Wma_추세유지_하락_고가(0), Wma_추세유지_하락_저가(0), Wma_추세유지_하락_진폭(0); // 단기 WMA 간 관계를 기반으로 추세 방향 계산 (1단계 이전) Wma_Short_0단계 = IFF(Wma_Short1 > Wma_Short2, 1,0)+ IFF(Wma_Short1 < Wma_Short2, -1,0)+ IFF(Wma_Short2 > Wma_Short3, 1,0)+ IFF(Wma_Short2 < Wma_Short3, -1,0)+ IFF(Wma_Short3 > Wma_Short4, 1,0)+ IFF(Wma_Short3 < Wma_Short4, -1,0)+ IFF(Wma_Short4 > Wma_Short5, 1,0)+ IFF(Wma_Short4 < Wma_Short5, -1,0)+ IFF(Wma_Short5 > Wma_Short6, 1,0)+ IFF(Wma_Short5 < Wma_Short6, -1,0); // 단기 WMA 1단계 추세 방향성 도출 Wma_Short_1단계 = IFF(Wma_Short_0단계 > 4, 1,0)+ IFF(Wma_Short_0단계 > 2, 1,0)+ IFF(Wma_Short_0단계 < -4, -1,0)+ IFF(Wma_Short_0단계 < -2, -1,0); // 장기 WMA 간 비교로 추세 방향 계산 (0단계) Wma_Long_0단계 = IFF(Wma_Long1 > Wma_Long2, 1,0)+ IFF(Wma_Long1 < Wma_Long2, -1,0)+ IFF(Wma_Long2 > Wma_Long3, 1,0)+ IFF(Wma_Long2 < Wma_Long3, -1,0)+ IFF(Wma_Long3 > Wma_Long4, 1,0)+ IFF(Wma_Long3 < Wma_Long4, -1,0)+ IFF(Wma_Long4 > Wma_Long5, 1,0)+ IFF(Wma_Long4 < Wma_Long5, -1,0)+ IFF(Wma_Long5 > Wma_Long6, 1,0)+ IFF(Wma_Long5 < Wma_Long6, -1,0); // 장기 WMA 1단계 추세 방향성 도출 Wma_Long_1단계 = IFF(Wma_Long_0단계 > 4, 1,0)+ IFF(Wma_Long_0단계 > 2, 1,0)+ IFF(Wma_Long_0단계 < -4, -1,0)+ IFF(Wma_Long_0단계 < -2, -1,0); // 단기 vs 장기 WMA 비교로 추세 방향 결정 (+1: 상승, -1: 하락) Wma_추세_구분 = IFF(Min(Wma_Short1, Wma_Short6) > Max(Wma_Long1, Wma_Long6), 1,0)+ IFF(Max(Wma_Short1, Wma_Short6) < Min(Wma_Long1, Wma_Long6), -1,0); // 상승 추세일 때 추세 상태 초기화 및 유지 If Wma_추세_구분 > 0 Then { If Wma_추세_구분[1] <= 0 Then { Wma_추세_Cnt = 1; // 새 상승 추세 시작 Wma_추세_상승_고가 = H; // 상승 추세 시작점 고가 저장 Wma_추세_상승_저가 = L; // 상승 추세 시작점 저가 저장 } Else { Wma_추세_Cnt = Wma_추세_Cnt+1; // 상승 추세 유지 중: 카운트 증가 Wma_추세_상승_고가 = Max(Wma_추세_상승_고가, H); // 상승 고가 갱신 Wma_추세_상승_저가 = Min(Wma_추세_상승_저가, L); // 상승 저가 갱신 } } // 하락 추세일 때 추세 상태 초기화 및 유지 If Wma_추세_구분 < 0 Then { If Wma_추세_구분[1] >= 0 Then { Wma_추세_Cnt = -1; // 새 하락 추세 시작 Wma_추세_하락_고가 = H; // 하락 추세 시작점 고가 저장 Wma_추세_하락_저가 = L; // 하락 추세 시작점 저가 저장 Wma_추세_상승_진폭 = (Wma_추세_상승_고가 - Wma_추세_상승_저가)/PriceScale; // 직전 상승 진폭 계산 (선물기준) } Else { Wma_추세_Cnt = Wma_추세_Cnt-1; // 하락 추세 유지 중: 카운트 감소 Wma_추세_하락_고가 = Max(Wma_추세_하락_고가, H); // 하락 고가 갱신 Wma_추세_하락_저가 = Min(Wma_추세_하락_저가, L); // 하락 저가 갱신 Wma_추세_하락_진폭 = (Wma_추세_하락_고가 - Wma_추세_하락_저가)/PriceScale; // 하락 진폭 계산 (선물기준) } } // 상승 추세 유지 여부 및 상승 회수, 유지 카운트 갱신 If Wma_추세_구분 > 0 Then { If Wma_추세_구분[1] <= 0 Then { Wma_추세_하락_회수 = 0; // 하락 회수 초기화 Wma_추세유지_하락_Cnt = 0; // 하락 유지 카운트 초기화 IF Wma_추세_상승_회수 > 0 then { Wma_추세유지_상승_Cnt = Wma_추세유지_상승_Cnt[1] + 1; // 직전 유지값 기반 카운트 증가 Wma_추세_상승_회수 = Wma_추세_상승_회수+1; // 상승 회수 증가 } Else Wma_추세_상승_회수 = 1; // 첫 상승 구간 진입 } Else Wma_추세유지_상승_Cnt = Wma_추세유지_상승_Cnt +1; // 지속 상승 시 유지 카운트 증가 } // 하락 추세 유지 여부 및 하락 회수, 유지 카운트 갱신 If Wma_추세_구분 < 0 Then { If Wma_추세_구분[1] >= 0 Then { Wma_추세_상승_회수 = 0; // 상승 회수 초기화 Wma_추세유지_상승_Cnt = 0; // 상승 유지 카운트 초기화 IF Wma_추세_하락_회수 > 0 then { Wma_추세유지_하락_Cnt = Wma_추세유지_하락_Cnt[1] - 1; // 유지 카운트 감소 Wma_추세_하락_회수 = Wma_추세_하락_회수+1; // 하락 회수 증가 } Else Wma_추세_하락_회수 = 1; // 첫 하락 구간 진입 } Else Wma_추세유지_하락_Cnt = Wma_추세유지_하락_Cnt -1; // 지속 하락 시 유지 카운트 감소 } // 상승 유지 구간 내 고가/저가 갱신 If Wma_추세_상승_회수 > 0 Then { If Wma_추세_상승_회수[1] < 1 Then { Wma_추세유지_상승_고가 = H; // 새로운 상승 유지 시작 시 고가 초기화 Wma_추세유지_상승_저가 = L; // 새로운 상승 유지 시작 시 저가 초기화 } Else { Wma_추세유지_상승_고가 = max(H, Wma_추세유지_상승_고가); // 고가 갱신 Wma_추세유지_상승_저가 = Min(L, Wma_추세유지_상승_저가); // 저가 갱신 } } // 하락 유지 구간 내 고가/저가 갱신 If Wma_추세_하락_회수 > 0 Then { If Wma_추세_하락_회수[1] < 1 Then { Wma_추세유지_하락_고가 = H; // 새로운 하락 유지 시작 시 고가 초기화 Wma_추세유지_하락_저가 = L; // 새로운 하락 유지 시작 시 저가 초기화 } Else { Wma_추세유지_하락_고가 = max(H, Wma_추세유지_하락_고가); // 고가 갱신 Wma_추세유지_하락_저가 = Min(L, Wma_추세유지_하락_저가); // 저가 갱신 } } // 진폭 계산 방식 분기: 주식은 % 기준, 선물은 PriceScale 기준 사용 If CodeCategory < 3 Then // 주식 종목일 경우 { Wma_추세유지_하락_진폭 = (Wma_추세유지_하락_고가 - Wma_추세유지_하락_저가) / Wma_추세유지_하락_저가 * 100; // 하락 구간 진폭 (% 기준) Wma_추세유지_상승_진폭 = (Wma_추세유지_상승_고가 - Wma_추세유지_상승_저가) / Wma_추세유지_상승_저가 * 100; // 상승 구간 진폭 (% 기준) } Else // 선물 종목일 경우 { Wma_추세유지_하락_진폭 = (Wma_추세유지_하락_고가 - Wma_추세유지_하락_저가)/PriceScale; // 하락 구간 진폭 (틱 기준) Wma_추세유지_상승_진폭 = (Wma_추세유지_상승_고가 - Wma_추세유지_상승_저가)/PriceScale; // 상승 구간 진폭 (틱 기준) } ///////////////////////////////////////////////////// // 단기 WMA 표시 plot1(Wma_Short1, "Short1", IFF(Wma_추세_구분 > 0, RGB(255,0,0), IFF(Wma_추세_구분 < 0, RgB(0,0,255), RgB(220,220,220))) ,Def, IFF(Abs(Wma_Short_1단계 + Wma_추세_구분) > 2,1,0)); plot2(Wma_Short2, "Short2", IFF(Wma_추세_구분 > 0, RGB(255,0,0), IFF(Wma_추세_구분 < 0, RgB(0,0,255), RgB(220,220,220))) ,Def, IFF(Abs(Wma_Short_1단계 + Wma_추세_구분) > 2,1,0)); plot3(Wma_Short3, "Short3", IFF(Wma_추세_구분 > 0, RGB(255,0,0), IFF(Wma_추세_구분 < 0, RgB(0,0,255), RgB(220,220,220))) ,Def, IFF(Abs(Wma_Short_1단계 + Wma_추세_구분) > 2,1,0)); plot4(Wma_Short4, "Short4", IFF(Wma_추세_구분 > 0, RGB(255,0,0), IFF(Wma_추세_구분 < 0, RgB(0,0,255), RgB(220,220,220))) ,Def, IFF(Abs(Wma_Short_1단계 + Wma_추세_구분) > 2,1,0)); plot5(Wma_Short5, "Short5", IFF(Wma_추세_구분 > 0, RGB(255,0,0), IFF(Wma_추세_구분 < 0, RgB(0,0,255), RgB(220,220,220))) ,Def, IFF(Abs(Wma_Short_1단계 + Wma_추세_구분) > 2,1,0)); plot6(Wma_Short6, "Short6", IFF(Wma_추세_구분 > 0, RGB(255,0,0), IFF(Wma_추세_구분 < 0, RgB(0,0,255), RgB(220,220,220))) ,Def, IFF(Abs(Wma_Short_1단계 + Wma_추세_구분) > 2,1,0)); // 장기 WMA 표시 plot7(Wma_Long1, "Long1", IFF(Wma_추세_구분 > 0, RGB(0,255,0), IFF(Wma_추세_구분 < 0,Green, RgB(220,220,220))),Def, IFF(Wma_Short_1단계 + Wma_추세_구분 > 2 && Wma_Long_1단계 > 0 ,1, IFF(Wma_Short_1단계 + Wma_추세_구분 < -2 && Wma_Long_1단계 < 0 ,1,0))); plot8(Wma_Long2, "Long2", IFF(Wma_추세_구분 > 0, RGB(0,255,0), IFF(Wma_추세_구분 < 0,Green, RgB(220,220,220))),Def, IFF(Wma_Short_1단계 + Wma_추세_구분 > 2 && Wma_Long_1단계 > 0 ,1, IFF(Wma_Short_1단계 + Wma_추세_구분 < -2 && Wma_Long_1단계 < 0 ,1,0))); plot9(Wma_Long3, "Long3", IFF(Wma_추세_구분 > 0, RGB(0,255,0), IFF(Wma_추세_구분 < 0,Green, RgB(220,220,220))),Def, IFF(Wma_Short_1단계 + Wma_추세_구분 > 2 && Wma_Long_1단계 > 0 ,1, IFF(Wma_Short_1단계 + Wma_추세_구분 < -2 && Wma_Long_1단계 < 0 ,1,0))); plot10(Wma_Long4, "Long4", IFF(Wma_추세_구분 > 0, RGB(0,255,0), IFF(Wma_추세_구분 < 0,Green, RgB(220,220,220))),Def, IFF(Wma_Short_1단계 + Wma_추세_구분 > 2 && Wma_Long_1단계 > 0 ,1, IFF(Wma_Short_1단계 + Wma_추세_구분 < -2 && Wma_Long_1단계 < 0 ,1,0))); plot11(Wma_Long5, "Long5", IFF(Wma_추세_구분 > 0, RGB(0,255,0), IFF(Wma_추세_구분 < 0,Green, RgB(220,220,220))),Def, IFF(Wma_Short_1단계 + Wma_추세_구분 > 2 && Wma_Long_1단계 > 0 ,1, IFF(Wma_Short_1단계 + Wma_추세_구분 < -2 && Wma_Long_1단계 < 0 ,1,0))); plot12(Wma_Long6, "Long6", IFF(Wma_추세_구분 > 0, RGB(0,255,0), IFF(Wma_추세_구분 < 0,Green, RgB(220,220,220))),Def, IFF(Wma_Short_1단계 + Wma_추세_구분 > 2 && Wma_Long_1단계 > 0 ,1, IFF(Wma_Short_1단계 + Wma_추세_구분 < -2 && Wma_Long_1단계 < 0 ,1,0))); Plot13(Wma_추세_상승_고가,"상승_고가"); Plot14(Wma_추세_상승_저가,"상승_저가"); Plot15(Wma_추세_하락_고가,"하락_고가"); Plot16(Wma_추세_하락_저가,"하락_저가"); Plot17(Wma_추세_상승_진폭,"Wma_추세_상승_진폭"); Plot18(Wma_추세_하락_진폭,"Wma_추세_하락_진폭"); If Wma_추세_구분 <> 0 Then Plot20(0,"Wma_추세_구분",IFF(Wma_추세_구분 > 0, ReD, Blue),Def,3); Plot22(Wma_Short_1단계,"Short1단계", IFf(Wma_Short_1단계 > 1,Red, IFf(Wma_Short_1단계 < -1,Blue, Gray)),Def,Abs(Wma_Short_1단계)); Plot21(Wma_Long_1단계,"Long_1단계", IFf(Wma_Long_1단계 > 1,Red, IFf(Wma_Long_1단계 < -1,Blue, Gray)),Def,Abs(Wma_Long_1단계)); If Wma_추세_상승_회수 > 1 or Wma_추세_하락_회수 > 1 Then Plot23(Wma_추세_Cnt,"추세_Cnt", IFF(Wma_추세_Cnt > 0,Red,Blue)); Plot24(Wma_추세_상승_회수,"Wma_추세_상승_회수", red, Def, Wma_추세_상승_회수-1); Plot25(Wma_추세_하락_회수,"Wma_추세_하락_회수", Blue, Def, Wma_추세_하락_회수-1); If Wma_추세유지_상승_Cnt > 0 Then Plot26(Wma_추세유지_상승_Cnt,"Wma_추세유지_상승_Cnt",Red); If Wma_추세유지_하락_Cnt < 0 Then Plot27(Wma_추세유지_하락_Cnt,"Wma_추세유지_하락_Cnt",Blue); Plot28(Wma_추세유지_상승_진폭,"추세유지_상승_진폭",red,def,1); Plot30(Wma_추세유지_하락_진폭,"Wma_추세유지_하락_진폭",blue,def,1);
프로필 이미지
어떤하루
2025-08-03
126
글번호 192950
지표
답변완료

문의드립니다.

var1 = var1 + 1; var2 = SummationRec(var1, 5); plot1(var2); 이런식으로 var2 = var1 + var1[1] + var1[2] + var1[3] + var1[4]의 값을 구하려는데 수치가 0이 나와요.어떻게 해야하죠? 답변부탁드립니다. 수고하세요^^
프로필 이미지
아싸가오리
2025-08-03
117
글번호 192949
지표
답변완료

아무리 해도 안되네요...

차트상에서 RSI값을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하고 화면에 올리니 2개만 나오는데... 어떻게 해야 설정한값을 다 볼 수 있을까요. 도움 요청 드림니다.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제너리
2025-08-03
146
글번호 192948
지표
답변완료

진입횟수제한 질문입니다.

더운데 고생많으십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00시를 기준으로 매매 횟수 제한을 하는 수식을 여쭙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예를들어 08월 2일 00시가 지나서 매수신호가 발생하였고 01시에 매도신호가 떠 정리됐으면 8월 2일엔 더이상 매매신호가 안뜹니다. 그러고 8월 3일 00시가 지나면 초기화 되어 다시 매수신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8월 2시 23시에 매수신호가 발생하였고 8월 3일 01시에 매도 되었다면 8월 3일 01시 이후로 한 번 더 매수신호가 발생할 수 있게 하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추세추종중독자
2025-08-03
121
글번호 192947
시스템
답변완료

부탁드립니다.

1. 매수 진입한 봉이 50틱 이상 음봉이 되면 50틱에서 즉시 청산되는 청산식을 구합니다. 2. 매수 진입한 봉으로부터 5봉이내에 50틱 이상 음봉이 나오면 종가가 아닌 50틱에서 즉시 청산되는 식을 구합니다. 3. 매도는 그 반대입니다. 노고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카르마다
2025-08-03
99
글번호 192946
시스템

고박사122 님에 의해서 삭제되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고박사122
2025-08-03
12
글번호 192945
지표
답변완료

수식검토

VLineUp(0), VLineDn(0), HHighest(0), LLowest(0), JustChanged(FALSE), VLine(0), DBN(0),T(0); Array: Highs[35](0), Lows[35](0), RRange[35](0), UpWave[1](FALSE), DnWave[1](FALSE); If STime == 180000 Then DBN = 0; DBN = DBN + 1; Var1 = Period; Var2 = Var1 - 1; Var3 = Var1 - 2; Var5 = Sence; Var6 = H-L; JustChanged = FALSE; if CurrentBar <= Var2 then begin Highs[CurrentBar] = Close; Lows[CurrentBar] = Close; RRange[CurrentBar] = (H-L) /2; end; if CurrentBar == Var1 then begin if Highs[Var2] >= Highs[Var3] then begin UpWave[1] = TRUE; HHighest = Highs[Var2]; VLineUp = HHighest - (Var5 * MA(Var6,Var2)); #Plot1(VLineUp,"VLineUp"); end; if Highs[Var2] < Highs[Var3] then begin DnWave[1] = TRUE; LLowest = Lows[Var2]; VLineDn = LLowest + (Var5 * MA(Var6,Var2)); #Plot2(VLineDn,"VLineDn"); end; end; if CurrentBar > Var1 then begin if DnWave[1] and Close > VLineDn then begin DnWave[1] = FALSE; UpWave[1] = TRUE; JustChanged = TRUE; HHighest = Close; LLowest = 0; end; if UpWave[1] and Close < VLineUp and JustChanged == FALSE then begin UpWave[1] = FALSE; DnWave[1] = TRUE; JustChanged = TRUE; LLowest = Close; HHighest = 0; end; if JustChanged == FALSE then begin if Close > HHighest then HHighest = Close; else if Close < LLowest then LLowest = Close; end; VLineUp = HHighest - (Var5 * MA(Var6,Var2)); VLineDn = LLowest + (Var5 * MA(Var6,Var2)); if UpWave[1] then T = 1; else if DnWave[1] then T = -1; end; Input : BBP(20), MultiD(2),P(30); var : BBmd(0),BBup(0),BBdn(0),mav(0); var : S(0),Pc(0); BBmd = ma(C,Period); BBup = BollBandUp(BBP,MultiD); BBdn = BollBandDown(BBP,MultiD); mav = ma(C,P); if CrossDown(C,BBup) and t == -1 and c > mav Then { S = -1; Pc = C; } if crossup(C,BBdn) and t == 1 and c < mav Then { S = 1; Pc = c; } if S == -1 and C >= Pc+PriceScale*100 Then { S = -2; Sell(); } if S == 1 and C <= Pc-PriceScale*100 Then { S = 2; Buy(); } 위 식에서 손절전환이 되어야 하는데 돼지 않아서 문의 합니다 검토 바람니다 sw2선도 바뀌었는데도 전환이 안 이루어짐 sw2선이 바뀌면 청산이나 손절되는 걸로 수정요 첨부sw2
프로필 이미지
아트정
2025-08-02
134
글번호 192944
시스템